16 Feb, 2010

내가 바라는 나의 모습을 위해

머시라고 조회 수 3352 추천 수 0 목록
시골에서 설날을 지내고 돌아왔다.
일곱 살에 국민학교(현, 초등학교) 문턱을 밟아
한국사회에서 33살로 살고 있는 나는, 내가 바라는 나의 모습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
명절에 가족 친지들을 대면하며 계속 웅얼거렸던 질문이다.

말 뿐이었다.
말로만 원대했고 운이 좋기만 기대하고 있었다.
실천도 기약도 없었던 희망찬 계획을 마치 미래의 내 모습인 양 착각하고 살았던 것 같다.

꿈을 위한 열정을 쏟지 않았던 무수한 나날마다
그럴만한 핑계를 대며 스스로를 위안시켰다.
간간히 발휘한 애정도 편하고 쉬운 것에만 치중했고
분석도 정리도 없었다.
피곤함을 구실로 자고 싶은 때 편히 자는 일상이었다.

부끄럽다.
이런 반성을 나에게 어두운 기운이 감돌자 썼다는 것이.

더욱 창피한 것은
‘그 꿈들이 아니더라도 잘 살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온 나.
‘혼신을 기울였던 일은 꿈의 실천을 위해 조금 소홀하자’고 종용하는 나.
List of Articles
sort

데자뷰

나체촌

아쉬움은 별로 빛나고

불면증 해소법

군입대

답답함,,

봄비,,오는 토요일

졸업식

얻은 것과 잃어가는 것,,

경칩 지난 밤.

부족함

탄핵

혼란

상처주기

우선순위

그런 날,,

진흙 속의 보배

친구를 찾아서

남긴 음식은 저승가서 다 먹어야 한다..

친하다 멀어지는 사람들

외롭지 않으면 길을 떠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