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Jun, 2007

오상순 - 짝 잃은 거위를 곡(哭)하노라

보시리 조회 수 13824 추천 수 0 목록
□□□□□□□□□□□□□□□□□□□□□□□□□□□□□□□□□□□□□□

짝 잃은 거위를 곡(哭)하노라


내 일찍이 고독의 몸으로서 적막과 무료의 소견법(消遣法)으로 거위 한 쌍을 구하여 자식 삼아 정원에 놓아 기르기 십 개 성상(十個星霜)이거니 올 여름에 천만 뜻밖에도 우연히 맹견의 습격을 받아 한 마리가 비명에 가고, 한 마리가 잔존하여 극도의 고독과 회의와 비통한 나머지 음식과 수면을 거의 전폐하고 비내리는 날, 달 밝은 밤에 여윈 몸 넋 빠진 모양으로 넓은 정원을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동무 찾아 목메어 슬피 우는 단장곡(斷腸曲)은 차마 듣지 못할러라. 죽은 동무 부르는 제 소리의 메아리인 줄은 알지 못하고 찾는 동무의 소린 줄만 알고 홀연 긴장한 모양으로 조심스럽게 소리 울려 오는 쪽으로 천방지축 기뚱거리며 달려가다가는 적적(寂寂) 무문(無聞), 동무의 그림자도 보이지 않을 때 또다시 외치며 제 소리 울려 오는 편으로 쫓아가다가 결국은 암담한 절망과 회의의 답답한 표정으로 다시 돌아서는 꼴은 어찌 차마 볼 수 있으랴.
말 못하는 짐승이라 때묻은 말은 주고받고 못하나 너도 나도 모르는 중의 일맥(一脈)의 진정이 서로 사이에 통하였던지 10년이란 기나긴 세월에 내 홀로 적막하고 쓸쓸하고 수심스러울 제 환희에 넘치는 너희들의 약동하는 생태는 나에게 무한한 위로요 감동이었고 사위(四圍)가 적연한 달 밝은 가을 밤에 너희들 자신도 모르게 무심히 외치는 애달픈 향수의 노랫소리에는 나도 모르게 천지 적막의 향수를 그윽히 느끼고 긴 한숨을 쉰 적도 한두 번이 아니러니-.
고독한 나의 애물(愛物)아, 내 일찍이 너에게 사람의 말을 가르칠 능(能)이 있었던들 이내 가슴속 어리고 서린 한없는 서러운 사정과 정곡(情曲)을 알려 들리기도 하고 호소도 해 보고 기실 너도 나도 꼭같은 한없는 이 설움 서로 공명도 하고 같이 통곡도 해 보련만 이 지극한 설움의 순간의 통정을 너로 더불어 한 가지 못하는 영원한 유한(遺恨)이여-.

외로움과 설움을 주체 못하는 순간마다 사람인 나에게는 술과 담배가 있으니 한 개의 소상 반죽(瀟湘斑竹)의 연관(煙管)이 있어 무한으로 통한 청신한 대기를 속으로 빨아들여 오장 육부에 서린 설움을 창공에 뿜어 내어 자연(紫煙)의 선율을 타고 굽이굽이 곡선을 그리며 허공에 사라지는 나의 애수(哀愁)의 자취를 넋을 잃고 바라보며 속 빈 한숨 길게 그윽히 쉴 수도 있고, 한 잔의 술이 있어 위로 뜨고 치밀어 오르는 억제 못할 설움을 달래며 구곡간장(九曲肝腸) 속으로 마셔들여 속으로 스며들게 할 수도 있고, 12현(絃) 가야금이 있어 감정과 의지의 첨단적(尖端的) 표현 기능인 열 손가락으로 이 줄 저 줄 골라 짚어 간장에 어린 설움 골수에 맺힌 한을 음률과 운율의 선에 실어 찾아내어 기맥이 다하도록 타고 타고 또 타 절실한 이내 가슴 속 감정의 물결이 열두 줄에 부딪쳐 몸부림 맘부림 쳐가며 운명의 신을 원망하는 듯, 호소하는 듯 밀며, 당기며, 부르며, 쫓으며, 잠기며, 맺으며 풀며, 풀며 맺으며, 높고 낮고 길게 짧게 굽이쳐 돌아가며, 감돌아 가며, 감돌아 들며, 미묘하고 그윽하게 구르고 흘러 끝 가는 데를 모르는 심연한 선율과 운율과 여운의 영원한 조화미(調和美) 속에 줄도 있고 나도 썩고 도연(陶然)히 취할 수도 있거니와-.
그리고 네가 만일 학이라면 너도 응당 이 곡조에 취하고 화하여 너의 가슴속에 가득 답답한 설움과 한을 잠시라도 잊고 춤이라도 한번 덩실 추는 것을 보련마는- 아아, 차라리 너마저 죽어 없어지면 네 얼마나 행복하며 네 얼마나 구제되랴. 이내 애절한 심사 너는 모르고도 알리라. 이내 무자비한 심술 너만은 알리라. 만물의 영장(靈長)이라는 인간이 말 못하는 짐승이라 꿈에라도 행여 가벼이 보지 말지니 삶의 기쁨과 죽음의 설움을 사람과 똑같이 느낌을 보았노라. 사람보다도 더 절실한 느낌을 보았노라. 사람은 산 줄 알고 살고, 죽는 줄 알고 죽고, 저는 모르고 살고 모르고 죽는 것이 다를 뿐, 저는 생(生), 사(死), 운명에 무조건으로 절대 충실하고 순수한 순종자-. 사람은 아는 것을 자랑하는 우월감을 버리고 운명의 반역자임을 자랑 말지니 엄격한 운명의 지상 명령에 귀일(歸一)하는 결론은 마침내 같지 아니한가.

너는 본래 본성이 솔직한 동물이라 일직선으로 살다가 일직선으로 죽을 뿐 사람은 금단(禁斷)의 지혜의 과실을 따 먹은 덕과 벌인지 꾀 있고 슬기로운 동물이라 직선과 동시에 곡선을 그릴 줄 아는 재주가 있을 뿐, 10년을 하루같이 나는 너를 알고 너는 나를 알고 기거(起居)와 동정(動靜)을 같이 하고 희로애락(喜怒哀樂)의 생활 감정을 같이 하며 서로 사이에 일맥의 진정이 통해 왔노라. 나는 무수한 인간을 접해 온 10년 동안에 너만큼 순수한 진정이 통하는 벗은 사람 가운데서는 찾지 못했노라. 견디기 어렵고 주체 못할 파멸의 비극에 직면하여 술과 담배를 만들어 마실 줄 모르고 거문고를 만들어 타는 곡선의 기술을 모르는 솔직 단순한 너의 숙명적 비통을 무엇으로 위로하랴. 너도 나도 죽어 없어지고 영원한 망각의 사막으로 사라지는 최후의 순간이 있을 뿐이 아닌가. 말하자니 나에게는 술이 있고, 담배가 있고, 거문고가 있다지만 애닯고 안타깝다. 말이 그렇지 망우초(忘憂草) 태산 같고 술이 억만 잔인들 한없는 운명의 이 설움 어찌하며 어이하랴. 가야금 12현(絃)인들 골수에 맺힌 무궁한 이 원(怨)을 만분의 일이나 실어 탈 수 있으며, 그 줄이 다 닳아 없어지도록 타본들 이놈의 한이야 없어질 기약 있으랴. 간절히 원하거니 너도 잊고 나도 잊고 이것저것 다 없다는 본래 내 고향 찾아 가리라. 그러나 나도 있고 너도 있고 이것저것 다 있는 그대로 그곳이 참 내 고향이라니 답답도 할사 내 고향 어이 찾을꼬, 참 내 고향 어이 찾을꼬.

창 밖에 달은 밝고 바람은 아니 이는데 뜰 앞에 오동잎 떨어지는 소리 가을이 완연한데 내 사랑 거위야, 너는 지금도 사라진 네 동무의 섧고 아름다운 꿈만 꾸고 있느냐.

아아, 이상도 할사, 내 고향은 바로 네로구나. 네가 바로 내 고향일 줄이야 꿈엔들 꿈꾸었으랴. 이 일이 웬일일까. 이것이 꿈인가. 꿈 깨인 꿈인가. 미칠 듯한 나는 방금 네 속에 내 고향 보았노라, 천추(千秋)의 감격과 감사의 기적적 순간이여, 이윽고 벽력 같은 기적의 경이와 환희에 놀랜 가슴 어루만지며 침두(枕頭)에 세운 가야금 이끌어 타니 오동나무에 봉(鳳)이 울고 뜰 앞에 학이 춤추는도다. 모두가 꿈이요, 꿈 아니요, 꿈 깨니 또 꿈이요, 깨인 꿈도 꿈이로다. 만상이 적연히 부동한데 뜰에 나서 우러러보니 봉도 학도 간 곳 없고 드높은 하늘엔 별만 총총히 빛나고 땅 위에는 신음하는 거위의 꿈만이 그윽하고 아름답게 깊었고녀-. 꿈은 깨어 무엇하리.



□□□□□□□□□□□□□□□□□□□□□□□□□□□□□□□□□□□□□□


공초 오상순(吳相淳) 선생님의 수필입니다.
시풍경이라 하셨지만, 수필 역시, 풀어 쓴 시라 함에 큰 장애는 없으리라 생각되어.

마음에 품은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일에 늘 진저리 나도록 고민하는 와중에,
(나름대로는 그렇습니다.. "어디 고민의 흔적~?" 이라고 누가 묻는다면 할 말은
하나도 없지만..) 오상순 선생님의 <표현>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세계는 표현을 요구한다. 확실히 요구한다. 어느 존재가 표현 아닌 것이 있으랴.
한 폭의 나뭇잎, 한 알갱이의 모래알, 어느 것이 존재 그것의 자기 표현 아닌 것이 있으랴.
존재 그것이 곧 표현 그것이다. 표현 아니고는 존재 그것이 성립하지 못하는 까닭으로.

선생님의 글모음集 <짝 잃은 거위를 곡(哭)하노라>에 실린 "표현"의 한 구절입니다.
표현되어지지 않는다면 존재가 성립되지 않는다..라니.
서슬 퍼런 날 보다도 더 긴장되게 하는 말씀이었습니다.

"모든 예술이 다 그렇지만, 문학도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아. 이 세상 삼라만상,
특히 자연 현상에 관심을 가지면서 계속 써 봐. 평생을 바친다는 각오로."

선생님께서 어느 젊은 후학이 찾아뵈었을 때 하신 말씀이랍니다.
" 나에게 '싹이 노랗다, 파랗다'라는 말씀은 한 마디 없이 만날 때마다 계속 쓰라고만 했다."

하루에 담배 열갑.. 공초 오상순 선생님.
교과서에서 딱딱한 입시의 전쟁통에.. 그 분 글의 옷깃 한번 못 잡아보고 이름만
달달 외었던 후회. 그저 한 줄.. 잡지<폐허> 동인. 주제 - 방랑,허무.

그분의 글 안에서 허무空를 초월超하는 따뜻한 이상으로의 바램을 읽기는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었는데도.

글이 너무 길어서 죄송합니다.. ^^a





List of Articles
번호
130 유지소 - 박쥐 file 보시리 2007-07-28 7093
129 김정란 - 기억의 사원 file [2] 보시리 2007-07-11 6957
128 기형도 - 바람은 그대 쪽으로 file 보시리 2007-06-25 15788
127 홍윤숙 - 과객 file 보시리 2007-06-18 6866
126 함민복 - 산 file 보시리 2007-06-08 7781
» 오상순 - 짝 잃은 거위를 곡(哭)하노라 [3] 보시리 2007-06-06 13824
124 신달자 - 불행 보시리 2007-06-03 9009
123 김정란 - 눈물의 방 보시리 2007-06-01 6833
122 김용택 - 그 강에 가고 싶다 file 보시리 2007-05-30 9681
121 함민복 - 긍정적인 밥 보시리 2007-05-27 7678
120 문병란 - 돌멩이 (반들반들) 보시리 2007-05-27 7220
119 천상병 - 나무 (기다, 아니다) file [3] 보시리 2007-05-24 7289
118 천양희 - 좋은 날 보시리 2007-05-21 6729
117 장정일 - 내 애인 데카르트 보시리 2007-05-17 6530
116 유지소 - 별을 보시리 2007-05-14 6230
115 박성우 - 도원경(桃源境) 보시리 2007-05-11 14141
114 천양희 - 외딴 섬 보시리 2007-05-09 6690
113 안도현 - 섬 [1] 보시리 2007-05-06 6957
112 박남수 - 아침 이미지 보시리 2007-04-30 6722
111 문정희 - 고독 보시리 2007-04-29 6972
외롭지 않으면 길을 떠나지 않는다.